본문 바로가기

volume

(3)
8. 도커 데이터 관리3: 볼륨 관리 읽기 전용 볼륨 > docker run --name feedback-app -p 3000:80 --rm -v ${pwd}:/app:ro -v /app/node_modules -v feedback:/app/feedback -v /app/temp feedback-app 개발상의 편의를 위해 컨테이너와 호스트를 바인드 마운트로 연결할 수 있다. 호스트에서 소스를 편집한 내용이 컨테이너에 바로 반영되므로 개발 속도가 빨라진다. 이 경우에 호스트의 변경내용만 컨테이너로 전달되면 충분하다. 반대로 컨테이너에서 소스가 수정되어 호스트에 반영되는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. 이때 사용할 수 있는게 읽기전용 볼륨이다. -v로 정의한 볼륨 뒤에 :ro를 붙여주면 된다. 그리고 읽기전용으로 정의된 경로 하위에 컨테이너에서 쓰기..
7. 도커 데이터 관리2: 익명 볼륨, 지명된 볼륨, 바인드 마운트 도커 볼륨의 종류 도커 볼륨은 익명볼륨, 지명된 볼륨, 바인드 마운트 볼륨 3가지가 존재한다. 익명 볼륨은 -v {컨테이너 폴더 경로} 옵션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만들어진다. 볼륨으로 지정된 컨테이너 경로에 파일이 저장하려고 하면 컨테이너가 아니라 연결된 로컬 파일시스템에 해당 파일이 저장된다. 도커가 컨테이너의 폴더와 로컬 폴더를 연결하기때문에 개발자는 로컬 폴더가 어디인지는 알 수 없다. 또 컨테이너가 사라지면 해당 익명볼륨도 함께 사라진다. 지명된 볼륨은 -v {볼륨 이름}:{컨테이너 폴더 경로} 옵션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만들어진다. 익명 볼륨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의 폴더와 로컬 폴더가 맵핑되고 개발자는 자세한 로컬 폴더의 위치를 알 수 없다. 하지만 컨테이너를 삭제해도 볼륨은 삭제되지않기 때..
6. 도커 데이터 관리1: 데이터 종류와 볼륨 데이터의 종류 서비스를 운영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는 3개로 구분할 수 있다. 먼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소스파일이나 실행파일, 실행을 위해 필요한 패키지 파일, 환경 설정 파일 등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말한다. 이러한 데이터들은 빌드할 때 도커 이미지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. 그리고 도커 이미지는 읽기전용이므로 빌드된 이후 변경되지 않는다. 즉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이미지에 읽기전용으로 저장된다. 다음으로 임시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동안만 사용되는 데이터를 말한다.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만들어지는 임시 파일을 예로 들 수 있다. 이러한 데이터는 컨테이너의 메모리나 파일시스템에 저장되고 컨테이너가 종료되면 사라진다. 즉 임시데이터는 컨테이너에 저장되고 읽기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