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num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6-2) ordinal 메소드 대신 인스턴스 필드를 사용하라 ordinal 사용한 예 public enum Ensemble { SOLO, DUET, TRIO, QUARTET, QUINTET, SEXTET, SEPTET, OCTETE, NONET, DECTET; public int numberOfMusicians() { return this.ordinal() + 1; } } enum에는 해당 상수사 몇 번째 위치인지를 반환하는 ordinal이라는 메소드가 존재한다. 그리고 개발자는 해당 메소드를 사용하여 기능을 구현하고싶은 유혹에 빠질 수 있다. 위의 코드는 합주의 종류를 나타내는 Ensemble과 여러 상수들이 있다. 그리고 연주자의 수를 반환하는 numberOfMusicians라는 메소드가 있는데 이를 ordinal 메소드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. 당장은 문제가 .. 6-1) int 상수 대신 enum을 사용하라 정수 열거 패턴 public static final int FULL_TIME_JOB= 0; public static final int PART_TIME_JOB= 1; public static final int STAFF_RANK= 0; public static final int MANGER_RANK= 1; public static final int SENIOR_RANK= 2; 개발을 하다보면 상수 값을 사용해야 할 때가 있고 int에 static final 키워드를 추가해서 표현할 수 있다. 그리고 정의된 이름이 상수의 의미를 나타낸다. 정규직, 비정규직 고용형태를 0, 1의 상수로 정의하였고 사원, 대리, 주임 직급을 0, 1, 2의 상수로 정의하였다. 그리고 상수의 이름을 보면 그 의미에 맞게 정의되.. 이전 1 다음